미래 예측? 합리적 기대? 그거 믿어도 되는 거야?
안녕하세요, 오늘은 좀 거창한? 주제로 들어가볼까합니다.
바로 **합리적 기대(Rational Expectations)**라는, 이름부터 뭔가 똑똑해 보이는 경제 이론입니다.
근데 솔직히, 이거 믿어도 되는 걸까요? 아니, 우리가 매일 하는 이 '미래 예측' 놀이, 진짜 의미가 있는 걸까요? 금리가 오를지, 집값이 폭락할지, 환율이 춤출지… 다들 한 번쯤 머리 싸매고 고민해본 적 있죠? 자, 커피 한 잔 들고 편하게 얘기 시작해봅시다.
합리적기대?
합리적 기대 이론은 간단히 말해,
우리가 과거 경험+현재 정보를 총동원해서 미래를 예측한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지난 10년간 금리가 쭉 올랐다? 그럼 "음, 또 오르겠네" 하고 생각하는 거죠.
이 이론의 신기한 점은, 개인적으로는 삑사리 낼 때가 많아도, 사람들 예측을 평균 내면 은근히 정확하다는 겁니다. 오, 똑똑한 척하기 딱 좋은 이론이기도 합니다.ㅋㅋ
근데 여기서 의문 하나. "그렇게 똑똑하면 왜 경제 위기는 자꾸 터지는 건데?" 맞아요, 이게 함정이거든요.
이론은 사람들이 정보를 완벽히 활용한다고 가정하지만, 현실은? 감정, 편견, 예기치 못한 변수가 판을 뒤흔듭니다. 우리, 솔직히 뉴스 헤드라인 보고 "오, 이건 대박!" 했다가 쪽박 차본 적 다 있지 않나요..?
1997년,2008년…다들합리적이었다며?
과거로 좀 날아가 볼께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기억하시죠? (혹은 역사책에서 봤거나?) 그때 한국 기업들은 환율이 설마 그렇게 뛸까 싶어서 달러 빚을 마구 졌어요. 결과? 환율 폭등, 줄줄이 망했죠. 합리적 기대? 글쎄요, 정보도 부족했고, 다들 "설마~" 하면서 위험을 깔본 거예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도 비슷한 레퍼토리. 부동산 시장은 영원히 간다! 금융기관은 복잡한 상품으로 리스크 다 막았다! …라고 믿었죠. 근데 시장은? 와장창. 합리적 기대는커녕, 다들 장밋빛 환상에 빠져 있었던 거예요. 이쯤 되면 이론이 아니라 인간의 오만이 문제 아닌가 싶네요.
지금한국은?다들뭘기대하고있나?
지금 한국 경제에서도 이 합리적 기대가 작동하고 있어요. 한국은행이 "금리 올릴 수도 있다~" 하면, 기업은 투자 계획 접고, 가계는 대출 끊기 바빠요.
이런 움직임이 쌓여서 실제 경제가 돌아가죠. 심지어 예측이 현실이 되는 경우도 많아요. 근데 문제는, 현실은 그렇게 깔끔하지 않다는 거예요.
정보는 불균등하고, 투자자들은 감정 롤러코스터 타고, 정치적 변수는 또 왜 이렇게 튀어나오는지. 뉴스 몇 개 읽고 "나, 경제 다 꿰뚫었어!" 하면 큰코다쳐요. 솔직히, 경제 예측은 주식 차트 보면서 점치는 수준과 별반 다를 때도 많아요.
그럼 우린 뭐해? 똑똑하게 예측하려면?
자,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순 없죠. 합리적 기대 이론을 똑똑하게 써먹으려면, 몇 가지 팁이 필요해요. 조금은 시니컬하게 정리해봤습니다:
-
과거 공부해라: 경제 흐름은 패턴이 있어요. 금리랑 주식 시장, 환율이랑 부동산, 이런 거 좀 들여다보세요. 엑셀 안 돌려도, 네이버 검색 정도는 해보자고요.
-
뉴스 편식 금지: 한 매체만 보면 눈 가리고 아웅이에요. 국내외 정보, 블로그, X 포스트까지 뒤져서 큰 그림 보세요. 근데 또 너무 파고들다 정신없는 것도 문제지만
-
최악도 대비: 예측이 빗나갈 수도 있어요. 그러니까 투자 포트폴리오 분산하고, 대출은 여유 있게 관리하세요. "설마"가 제일 무서운 단어
합리적기대,믿어도돼?아니면말고?
결론적으로, 합리적 기대 이론은 꽤 쓸모 있는 도구예요. 근데 이걸 성경처럼 맹신하면 망합니다.
경제는 숫자만으론 안 돌아요. 인간의 탐욕, 공포, 그리고 "이번엔 다르다!"는 착각이 뒤섞인 카오스죠.
여러분은 최근에 어떤 경제적 결정 내리면서 미래 예측해본 적 있나요? 주식, 부동산, 대출, 뭐든 털어놓고 같이 얘기해봅시다! 댓글로 남겨주시면 저도 같이 고민해볼게요. 그럼, 다음 포스트에서 또 만나요